오늘의 경제이슈

한은 금리 빅스텝 인상

sunozzang 2022. 7. 13. 13:53
728x90
반응형

2022년 7월 13일 한국은행이 금융통화

위원회를 개최하여 사상초유의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빅스텝이라고 한꺼번에 0.5% P를

인상한 것인데, 이는 물가상승 압력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반증입니다.

과거 2020년 3월에는 코로나19 충격으로

경기침체가 예상되자 기준금리를

한꺼번에 0.5% P 낮추는 빅컷

나섰고 같은 해 5월  추가로 금리를

인하해 2달 만에 0.75% P나 금리를

내린 바 있고 9차례 동결에 거쳐

8월에 0.25% P를 올리면서

'통화정책 정상화'의 시동을

걸었습니다.


이처럼 큰 폭의 금리인상에는

현시점의 물가 급등뿐 아니라

경제주체들의 물가 상승 기대심리가

매우 강해 한은으로서는 방치하기가

어려웠을 것입니다.

물가 상승 심리가 높으면, 경제 주체들이

그에 맞추어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을 인상하고

임금인상에 나서서  물가가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고착화될 우려가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바로 임박한 미국과의

기준금리 역전 상황입니다.

미국은 지난달 1994년 이후 28년 만에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고,국과의 격차는

0% P ~ 0.25% P로 좁혀졌다.

자이언트 스텝은 한꺼번에 기준금리를

0.75% P 인상하는 과감한 금리정책을 말합니다.

미국과의 기준 금리 비교가 중요한

이유는 미국보다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더 높은 수익을 쫓아 외국인 투자자의

투자금이 다른 나라로 빠져나가게 되고

원화가치도 급락하는 도미노 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원화가치가 하락하면 같은 물건이라도

더 많은 원화를 주고 물건을 수입해야 되는

상황이라, 수입물가 상승이 국내

물가상승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한 것입니다.

이에 한국은행은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을

예의 주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오는 26일경 미국 연준이

또다시 자이언트 스텝을 한다면,

미국의 금리가 한국보다 0.25% P

높아져 역전되는 상황을 피하기

어려울지도 모릅니다.

오늘은 경기 부양을 위한 고육책으로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을

살펴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

'오늘의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내일 저축계좌  (0) 2022.07.18
저신용 청년 특례채무조정 프로그램-도덕적해이 심각  (0) 2022.07.16
아파트시세 하락폭최대  (0) 2022.07.01
은행 이자장사  (0) 2022.06.24
검은 수요일  (0) 2022.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