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가 상승하고 있는 지금 상황에서
은행의 대출금리가 오르자 은행권이 소위
'이자장사'를 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은행권에서는 역대 최대 실적이
예상되자 4대 시중은행 임직원들에게
성과급으로 기본급의 300%를 지급하고
일부는 100~150만원 정도를 더 지급한다고
한다. 금융당국은 이런 성과급 잔치에
불편한 기색이 역력했으며 대출 부실에
대비해 쌓아두는 '대손 충당금'을 더
늘릴것을 주문하고 있다.
코로나로 소상공인, 중소기업의 대출원금
만기 상환 기한 연장, 이자 납입 유예 등
금융지원이 곧 끝나는 가운데 금융권에서
미뤄준 원금과 이자는 139조에 달한다.
잠재적으로 부실화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격에 대비해 손실 흡수 능력을
키워 놓으라는 주문인 것이다.
힘없는 서민들이 대출 받고 은행에 꼬박꼬박
내는 돈은 아무나 먼저 본사람이 가지는
눈 먼 돈은 아니지 않는가?
금융감독원장과 정치권에서도 은행의
예대금리 마진이 높아 과도한 폭리를
취하면 안된다는 지적을 하고있다.
정치권에서는 현재의 고금리,고환율
상황에서 시중은행도 같이 고통을
분담해 줄 것을 요구했다.
은행의 대출금리는 대출기준금리와
가산금리를 더한 후 가감조정금리를
차감해서 산출한다.
대출금리는 중앙은행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영향을 받는다.
문제는 가산금리이다.
가산금리는 은행이 자체적으로 업무원가,
법적비용, 차주의 신용도 등 예상손실 비용,
목표이익 등을 고려해 작성하고 있다.
은행권에서는 지난해 말부터 정부의
대출규제 등으로 가산금리가 올랐다는
입장이지만 소비자 사이에서는 소위
'영업비밀'로 세부 사항을 알 수 없는
가산 금리를 통해 너무 많은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의심이 팽배했다.
정부는 스태그 프레이션이 목전에 있는
만큼 최대한 물가 상승을 억제하고
경제활력을 불어넣을 종합 대책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정부 혼자
힘으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민관이
손을 잡아야 위기극복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 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가계부채는 가정경제 뿐만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시한폭탄이 될수 있다면서
그간에 시중의 은행들이 예금과 대출의 금리
차이로 과도한 폭리를 취해 이자장사를
해왔다는 얘기가 나오는 시점에서
시장의 자율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고통분담의 노력을 함께해야 한다고 했다.
예대금리
예금과 대출의 금리차인 예대금리는 은행의
수익과 직결되는 중요한 항목이다.
현재는 예대금리 차이가 2.32%이고 8개월
연속으로 벌어져 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4대금융지주회사의 지난해 순이익은
14조4000억원으로 전년대비 33%가 늘었다.
정치권과 금융감독원의 발언으로 시중은행이
대출금리 인하에 착수했다는 얘기가 나온다.
위 사안들을 전반적으로 검토한 금융당국은
제도적으로 예대금리차 공시제도 도입도
검토 중이라고 한다.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격차를 줄이고,
가산금리의 적정성과 담합요소를
점검하겠다는 이야기다.
또한 이자이익에만 집중되어 있는
은행의 수익구조를 개선하는데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으로 오늘은 은행의 높은 이자
장사에 대해 언급해 보았습니다.
'오늘의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은 금리 빅스텝 인상 (0) | 2022.07.13 |
---|---|
아파트시세 하락폭최대 (0) | 2022.07.01 |
검은 수요일 (0) | 2022.06.23 |
상병수당 (0) | 2022.06.20 |
주택담보대출 금리인상 (0) | 2022.06.10 |